U.KNOU 캠퍼스

11)문화행정의연구방법과예술통계/예술경영과예술행정

명동팬더 2021. 6. 18. 20:58

 

강의정보

문화행정 및 문화정책에 관한 연구는 그 역사가 길지 않지만 문화예술의 중요성과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하에서는 문화행정 및 문화정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의 흐름을 문화경제학적.문화정책학적.예술경영학적 접근방법에서 살펴본다. 또한 예술통제를 통해 예술분야 공급과 유통, 향유실태를 알아본다.

 

 

강의목차
  1. 문화행정의 연구방법
  2. 문화행정 국제비교연구
  3. 예술통계를 통해 살펴본 예술분야 현황

 

 

강의정리

1.문화분야와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연구의 흐름들을 알아본다.

문화행정 및 문화정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의 흐름을 문화경제학적, 문화정책학적, 예술경영학적 접근방법에서 정리했다.

 

 

(1)문화경제학적 접근방법

문화경제학적 접근이란 경제학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문화예술의 경제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경제학의 연구경향은 다음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예술의 경제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로 정부 등 공공부문이 문화예술에 지원을 해야 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된다.

 

둘째, 문화예술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2)문화정책학적

문화정책학은 문화정책현상을 정책학의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영역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첫째, 문화정책과정의 정치성에 관한 연구이다. 

 

둘째, 정부 등 공공부문의 문화예술부문에 대한 개입정당성의 근거와 개입범위, 방법, 수단에 대한 연구이다.

 

셋째, 문화정책의 결정 및 집행에 관한 연구이다.

 

넷째, 문화정책의 효과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3)예술경영학적

예술경영학이란 문화예술영역을 경영학적인 이론과 방법으로 분석하는 접근방법이다.

 

 

 

2.문화행정 국제비교연구의 의미와 기존 논의를 살펴본다.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문화정책에 대한 국제비교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국제비교연구는 비교대상국가들의 예술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각국의 제도와 정책수단들이 어떤 의미와 성과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정책의 합리성과 효과성을 증진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문화분야에 대한 개념이 국가별로 차이가 있고 비교연구수행을 위한 데이터가 일관되게 누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은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시도보다는 소수의 변수를 선정하여 유형화의 틀을 만들고 동일한 유형에 속하는 국가들을 유형화하여 이로부터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장 많이 이루어진 국제비교연구는 각국의 문화재정에 대한 비교연구문화예술 지원유형에 대한 연구이다.

 

 

 

3.우리나라 예술통계 결과를 통해 예술분야 공급과 유통, 향유실태를 알아본다.

예술인 실태조사가 문화예술의 창작자인 문화예술인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라면 문화예술의 향유자인 국민들이 문화와 예술을 얼마나, 어떻게 누리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조사는 '문화향수 실태조사'이다. 

 

문화향수 실태조사

 

1)예술관람 및 참여

장르별 관람률 / 영화 75.8%

연령이 높아질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각종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낮아진다.

 

동행자 | 친구 40.5%

관람시간 | 주말 낮 48.4%

정보출처 | 인터넷 33%

선택기준 | 내용 및 수준 29.7%

보완 부분 | 잘품의 질 향상 32.8%

관람시 걸림돌 | 비용 31.7%

 

 

2)문화예술교육

정규교육외 문화예술교육 경험 (유아기, 아동기) | 19.7%

정규교육외 문화예술교육 경험 (청소년기) | 19.3%

최근 1년 이내 | 11.2%

향후 1년 이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의향 | 73%

문화예술교육 받은 장소 | 공공기관 부설기관 37.6%

문화예술교육관련 보완점 | 비용을 저렴하게 30.1%

 

 

3)기타

지난 1년간 문화예술 활동공간 이용률 66.2%

지난 1년간 문화예술 활동공간 이용횟수 6.2회

공간이용률 | 주민자치센터 30.4%

 

 

 

 

강의용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재 '예술경영과 예술행정'에서 발췌.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