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KNOU 캠퍼스

13) 문화제국주의를 넘어 삶의 양식이 되는 문화/세계의정치와경제

명동팬더 2021. 4. 5. 01:03

세계의 정치와 경제

현대 국제사회의 특징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외교안보, 환경 등의 측면에서 마치 실타래가 얽혀 있는 듯한 국가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확대와 심화에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정치와 위에서 언급된 제반영역과의 관계를 국제적 차원에서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세계정치경제의 구조적 특징과 문제점을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 도래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강의의 목적은 세계정치경제 체제의 특징과 구조를 바라보는 이론과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구조적인 영향력 속에서 살아가는 한국의 대학인이 갖추어야할 세계정치경제에의 기본적인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데 있다.

 

강의 정보
강의 목수정
강의 분량  

 

강의 목차
  1. 진화해온 문화의 개념
  2. 문화제국주의
  3. 문화제국주의를 넘어서는 새로운 원칙인 문화다양성 협약
  4. 살림의 문화를 위한 제도적 모색

 

 

강의 정리

1. 현재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압도적 문화환경인 문화제국주의와 신자유주의 속에서 우리 문화의 현주소를 파악해 본다.

ㅇㅇㅇ우리 문화의 현주소

문화는 인문주의적 의미, 사회적 의미,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담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정의되는 문화는 인류학적 의미에서의 문화이다. 여기에서 문화란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로 정의된다. 문화는 상하의 개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름이 있을 뿐이다. 신자유주의가 헤게모니를 장악한 이후, 문화는 사람들의 인식 속에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것으로 대치되고 말았다. 이에 돈을 벌지 못하는 문화는 고사되고 있다.  

문화제국주의는 지배적인 정치, 경제적 힘을 지닌 서구 열강이 타 지역에 대한 문화적 침투를 통해 고유한 문화의 정체성을 상실케 하고 전통문화를 파괴하는 현상을 지칭한다. 미국의 문화제국주의는 냉전이 종식되면서 폭발적으로 확대되었고 세계화의 흐름속에서 더욱 공격적인 형태를 띠게 되었다. 

 

2. 문화제국주의와 신자유주의 질서에서 신음하고 있는 전세계가 문화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선택한 대안인 문화 다양성 협약에 대해 알아본다.

2005년 유네스코에서 미국과 이스라엘을 제외한 148개국의 압도적 지지로 통과된 문화다양성 협약은 미래 문화교류의 틀을 위한 전 세계적 합의이다. 문화는 교류의 대상이며 교역의 대상이 아니기에 자유무역협정에서 문화는 자동적으로 예외조항에 들어간다는 것이 문화다양성 협약의 골자이다. 대한민국은 한미FTA 충돌우려로 2010년 6월에 이르러서야 국내법의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3. 문화산업에 집중되어 있는 투자가치 대상으로서의 문화를 벗어나 개인의 삶을 풍성하고 의미있게 채워 줄 문화가 실현될 수 있는 제도적 방안들에 대해 알아본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 아니라 특정 사용집단이 세계를 인식하는 체계이자 그들의 정신적 성취를 담고 있는 그릇이다. 언어가 소멸하면 다양한 인류의 정신세계까지 사라지게 된다. 불행하게도 한글의 위상은 점점 위축되고 있다. 한글은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유일한 문자임을 자랑스럽게 기억해야한다. 정부는 한글관련 예산을 늘려 정책의지를 나타내야 한다.

도서관은 국가가 제공해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문화 서비스이다. 지식기반 시대로 접어드는 21C 전 국민이 정보와 지식에 대한 고른 접근권을 갖게 하는 것은 가장 확실한 투자이기도 하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문화정책의 목표는 문화의 민주화가 되어야 한다. 재능을 인정받은 몇몇 사람들이 직업적 예술가로 살아남아 행하는 예술을 관람하는 것으로 문화가 끝나서는 안된다. 직접적인 예술을 체험하여 일상속에서 기쁨을 느끼고 자아를 성장시켜야 한다.

문화를 삶 속에 끌어들이는 일은 창조적인 휴식이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한다는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전 국민에게 연간 1주일의 문화휴가를 부여하여 문화를 우리 삶에 깊숙하게 스며들도록 하게된다면 우리의 삶은 더욱 풍요로워질 것이다. 

 

강의 용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재 '세계의 정치와 경제' 발췌 및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