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KNOU 캠퍼스

12. 글로벌 생산 / 국제경영학

명동팬더 2021. 5. 1. 13:55

국제 경영학

이 장에서는 먼저 기업의 해외생산의 배경이 되는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학습한다. 그리고 미국, 유럽의 다국적기업인 포드, GM, 필립스의 해외생산 진출 배경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일본 기업의 해외생산 배경과 연대별 특징에 대해 학습한다.

 

강의 정보
강의 우경봉
강의 분량  

 

강의 목차
  1. 해외생산의 원천과 촉진 요인
  2. 기업의 해외생산 사례

 

 

강의 정리

1. 해외생산활동의 배경이 되는 요인들을 이해한다. 

어떤 기업이 경영환경이 다른 해외에서 상대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외국기업이라는 핸디캡을 극복할 수 있는 강점이 필요하다.

 

  1. 제품이 뛰어나다.
  2. 제품을 잘 만든다.
  3. 브랜드 파워가 있다.
  4. 기업의 규모나 자금력이 크다.

이런 기업이 갖고있는 우위적인 경영자원을 해외에 이전하는 것을 해외생산이라고 한다.

 

 

2. 입지요인이 해외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우위성을 갖는 기업이 언제나 해외생산을 하는 것은 아니다. 수출로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업이 수출이 아닌 해외생산을 선택하려면, 수출을 방해하거나 해외생산을 촉진하는 요인이 있어야만 한다.

 

  1. 수출에 드는 수송비용 > 현지생산 비용
  2. 정부 정책이 수입을 제한
  3. 각국의 시장에 세심하게 대응하기 위해

이상 서술한 세 가지 요인은 크든 작든 시장의 지역적인 특성이나 생산거점의 입지적 특성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을 ‘입지요인’이라고 부른다.

 

 

3. 포드생산시스템의 혁신성을 이해한다.

 

1) 포드 모델T와 포드생산시스템

포드사의 강점은 모델 T의 제품기술과 포드생산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생산기술 양면의 우위성에 기초하는 것이었다. 모델T가 포드의 엔지니어 정신의 산물이라면 포드생산시스템은 폭발적인 작업장에 대응하기 위해 직원들의 시행착오로 만들어진 것이다.

 

  1. 모델 T생산을 위한 전용기계를 개발하였고 생산의 각 과정을 세분화하여 분업시켰다. 이를 통해 비숙련자도 생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2. 컨베이어벨트가 연상될 정도로 세분화된 공정을 연속화했다. 이를 통해 생산시간이 단축되었다.
  3. 다수의 세분화되고 연속되는 과정들의 리듬을 똑같이 만들어 작업이 물 흐르듯게 진행되게 만들었다. 이것을 과정의 동기화라 부른다.

 

2) 포드의 해외생산

1920년대 초기에는 미국 시장에서 60%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기록 했고 많은 해외시장에 수출 대수를 대폭 증가시켰다. 수출 대수 증가를 배경으로 해외 조립공장도 증가했다.

 

본사 공장이 있는 디트로이트를 중심으로 위성 형태로 배치된 세계 각지의 공장에서 디트로이트제의 부품을 쓰고 미국제 설비로 미국과 같은 차종이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포드사의 해외사업 전개방식은 디트로이트 중심주의라고 불렸다.

 

1920년대 후반부터 포드사는 미국 내외에서 여러 가지 곤란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해외의 주력시장인 영국에서도 포드사의 시장점유율은 급속하게 하락했다. 최대의 원인은 영국의 라이벌 메이커들과 경쟁을 함에도 불구하고 포드사가 디트로이트 중심주의를 지속해 온 것이다. 사태가 날로 심각해지자, 포드사도 디트로이트 중심주의를 어쩔 수 없이 일부 수정해야 했다.

 

1932년, 포드사가 최초로 해외시장을 겨냥해 만든 모델 Y가 발매되었다. 같은 무렵 포드사는 템스강 하구에 거대한 공장을 설립했다. 이 공장지역을 제2의 디트로이트로 개발해 이곳에서 유럽 각지의 조립공장의 부품을 보급하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이 구상도 세계 경제불황의 파도와 점점 강해지는 유렵의 내셔널리즘에 의해 대폭 수정하게 된다. 

 

 

4. 네덜란드에서 시작한 필립스의 해외생산방식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1) 전구회사로 시작한 필립스

19C 말 전구회사로 시작한 필립스사는 네덜란드라는 비교적 소국을 모국으로 두었기에 창업 당시부터 수출비중이 높고, 연구개발에 투자를 많이 하는 특징이 있었다. 필립스사가 유럽을 중심으로 해외에 다수의 생산거점을 전개하게 된 것은 1920년대부터였다. 생산거점 획득이 주로 인수로 인해 이루어졌다는 점, 국가마다 다른 문화의 차이를 중시했다는 점, 그리고 보호주의적 조치를 회피할 필요가 있었던 점 등으로 현지 자회사에 많은 재량권이 주어졌다.

 

2) 필립스사의 해외생산

20C 필립스사는 제품계열이 다각화되고 미국 시장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국제적인 제품의 표준화와 기술의 강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1972년 필립스사는 매트릭스 조직(matrix organization)을 정식으로 채용한다. 즉, 국가 및 지역마다 판매와 서비스에 대한 권한은 자회사에, 제품의 개발·생산·마케팅은 제품부문 조직에 권한을 준 것이다. 한때 매트릭스 조직은 통합과 현지화를 모두 해결하는 조직구축방법으로 각광을 받은 적도 있다. 그러나 지역 사장과 제품부문 사장, 두 사장으로 부터 명령을 받으니 혼란스럽다는 것이다. 그러나 필립스사가 큰 혼란에 빠지지 않았던 것은 필립스사 특유의 소속의식과 기업문화의 공유가 핵심이 되었다.

 

립스사는 전통적으로 자회사의 권한이 강했기에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규모의 경제를 발휘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일본 기업과의 국제적인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제품부문의 권한을 강화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특히 필립스사의 'V2000'이 일본의 'VHS'에게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의 '사실상의 표준' 경쟁에서 패배한 것은 충격이었다. 그러자 필립스사는 1980년대 말부터 매트릭스 조직을 폐지한다. 이후 필립스사는 자회사의 권한을 줄이고 본사조직과 제품부문 조직에 더욱 권한을 주었으며 신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비지니스 유닛BU라는 조직을 구축하였다. 

 

 

강의 용어

동기화(同期化, synchronization)란 시스템 전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개별 조직 또는 각 조립공정의 진행을 조정하여, 전체 공정의 흐름이 일정하도록 조절한 작업방식을 말한다.

 

녹다운(KD: knockdown)수출이란 부품 상태로 수출해 현지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운임과 관세의 측면에서 유리하며,현지의 싼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다. 자동차산업에서 자주 관찰된다.

 

매트릭스(matrix) 조직이란 직능(제조, 판매, 재무, 노동 등)을 종축으로 하고 각 제품을 횡축으로 하는 2개의 지휘·명령 계통을 가지는 조직형태를 말한다. 이원적으로 관리하여 다양한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휘계통의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간판(看板)방식일본 기업에 의해 시작된 생산방식으로, 뒤 공정이 앞 공정으로 필요할 때에, 필요한 물품을, 필요한 양만큼 인수하러 가고 앞 공정은 그 인수한 만큼 만들어 보충하면 생산현장의 불필요·불균형·불합리를 없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방식이다. 생산 흐름에 따라 품명과 품번·소요랑 등이 적힌 간판을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진행하여 이와 같은 명칭이 붙여졌다.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교재 '국제 경영학' 발췌 및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