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포털 중심 인터넷신문에서 SNS 직접소통시대의 참여형 미디어를 거쳐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까지 등장하고 있다. 수직적 소통에서 수평적 직접소통, 나아가 가상화폐 보상이 이뤄지는 블록체인 기반 소통으로 진화하고 있다. 채널 환경마다 뉴스를 작성하는 스타일과 방식도 디지털 스토리텔링에서 스마트 스토리텔링으로 급속히 변하고 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뉴스 스토리텔링 방식을 이해하고 각각의 플랫폼에서 뉴스 스토리텔링 실습을 통해 앞으로의 미디어 환경에 최적화된 역량을 연마한다.
강의 정보
강의 공훈의
강의 분량 39m50
자막 제공 한국어
SNS 시위, 투표 인증샷 등 SNS를 기반으로 생산된 뉴스가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몰고 왔는지 살펴본다.
강의 목차
1. SNS, 뉴스 미디어를 바꾸다
2. SNS 시위, 세계를 뒤흔들다
1.
SNS를 활용하는 '소셜뉴스'는 시의성, 속보성, 확산 능력으로 기존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잠식한다.
2.
2011년 아랍 민주화 시위, '아랍의 봄'에는 소셜미디어도 일조한다. 2010년 튀니지 재스민 혁명을 시작으로 알제리, 레바논,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모로코 등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아랍권 대다수 나라에서 아랍 민주화 시위가 일어난다. 사람들은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아랍 민주화 시위'와 관련한 게시물들을 끊임없이 포스팅 했으며 플리커 등에는 시위 현장의 사진들을 계속해서 업로드 했다. 이후 각국 정부에 의해 인터넷이 통제를 받을때는 많은 기업에서 VPN을 공급하여 민주화 시위를 지원하기도 했다.
[국제칼럼]아랍 민주화의 성공을 위하여
튀니지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의 높은 파고가 아랍세계를 거세게 몰아치고 있다. 이집트에서 무바라크 대통...
news.khan.co.kr
| 튀니지 재스민 혁명에 일조한 위키리크스
2010년 위키리크스는 튀지니 대통령 일가와 정부 관리들의 불법 재산 축적과 부패에 관한 문서를 폭로한다. 이는 '튀니지 재스민 혁명'에 불을 붙히는데 한몫한다. 튀니지 혁명에서 눈길을 끄는 요구사항 가운데는 '인터넷 검열 전면 해제'와 '구속된 블로거들의 전원 석방'이 있었다. 이후
| 이집트 혁명을 재점화 시킨 그호님
2010년, 이집트인 칼레드 사이드가 경찰의 부정한 장면을 유튜브에 올렸다가 체포되어 구타끝에 사망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그호님은 이에 분노하여 페이스북에 "우리는 모두 칼레드 사이드"라는 제목의 그룹을 만들었고 이 그룹은 페이스북에서 반정부 성향의 중심이 되었다. 그후 정부에 의해 구속되었다가 풀려나왔다.그는 석방후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에서 시위를 독려했으며 TV에 출연해 시민들을 격려하기도 했다. 그의 이런 행동들은 마무리 되어가던 시위를 크게 재점화 시켰다.
| 리비아, 실시간 시위 구글 지도
리비아 혁명, 트위터 사용자들은 구글 지도를 이용해 리비아 진압군들의 위치를 표시하며 시위대를 지원했다.
| 미국, SNS의 파급력을 증명한 '월가를 점령하라'
미국 경제는 서브프라임의 모기지 사태와 2008년 금융위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는 상황. 그러나 그에 대한 책임이 있는 금융인들이나 정부 관계자들은 실망스러운 모습만 보여준다. 이에 미국인들은 2011년 아랍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받아 월가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를 시작한다. '1%에 반대하는 99%', '월가를 점령하라'로 불리는 이시위는 이후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퍼졌다. 이 시위는 집행부와 구심점이 없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SNS 네트워크만으로 이루어 지고 진행되어 SNS의 파급력을 증명했다.
'U.KNOU 캠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리스크 대응 / 미디어혁신과 뉴스스토리텔링 (0) | 2021.01.30 |
---|---|
5) "내가 미디어다" / 미디어혁신과 뉴스스토리텔링 (0) | 2021.01.30 |
3) 소셜뉴스 사례탐구 1 / 미디어혁신과 뉴스스토리텔링 (0) | 2021.01.30 |
2) 뉴스 스타일의 혁신 / 미디어혁신과 뉴스스토리텔링 (0) | 2021.01.30 |
1) 미디어권력의 이동 | 미디어 혁신과 뉴스 스토리텔링 (0) | 2021.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