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KNOU 캠퍼스

5)예술기획과마케팅/예술경영과예술행정

by 명동팬더 2021. 6. 1.
반응형

 

강의정보

예술을 문화산업적인 측면에서 볼 때, 문화예술작품을 소비자에게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획과 마케팅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공연이나 전시 등 예술경영적인 측면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더욱 세밀히 계획하고 실천하게 되는데, 여기서 기획은 이러한 모든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예술경영에서 꼭 익혀야 할 기획의 개념과 과정, 아울러 마케팅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기로 한다.

 

 

 

강의목차
  1. 기획
  2. 마케팅

 

 

강의정리

1.예술경영의 기획과 기획화 과정에 대해 서술하시오

 

예술경영의 기획

예술경영에 있어서 '기획'이란 '무엇을 할 것인지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를 구체화된 기획서를 통해 명확히 계획을 짜고(예산, 구체적으로 필요한 자원)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전략을 구상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기획화 과정

 

(1)기획Planning

기획에서는 조직이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목표를 뚜렷하게 결정한 후에는 SWOT분석을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구체화된 전략을 짜게 되는데 이 과정을 '기획화 과정'이라고 한다. 

 

(2)조직화Organizing

조직화는 기획된 내용을 실행하는 과정이다. 설정된 목표에 맞는 인력, 스케쥴, 예산 등을 설정한다.

 

(3)지휘.감독Directing

조직의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는 리더의 지휘가 필요하다.

 

(4)통제.조절Controlling

기획, 조직화, 지휘.감독의 모든 과정들의 잘못된 점들을 개선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일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즉각적으로 검토한다. 모든 과정이 끝난후 검토과정을 갖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와같은 과정들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이 '기획화 과정'이다.

 

 

 

2.마케팅 기획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

마케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한 모든 전략, 전술 활동을 말한다. 마케팅은 속성상 소비자의 욕구와 행동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링크)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의 근거에 따라 예술조직의 마케팅에 대입해보면

 

  • 가장 하위, 생리적인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공연장을 예로 들면 화장실이나 식당, 식음료를 구입할 수 있는 장소가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 다음의 안전에 대한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공연장의 화재방지장치, 공연이 끝난 후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 세번째의 사회적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관란객이 지인들과 함께 방문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혼자 관람후에도 감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SNS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다.

 

  • 존경의 욕구는 자신이 가치있는 사람이고 자신만의 가치를 추구하는 욕구인데 문화자본 소유의 욕구로 이어진다. 

 

  • 마지막으로 자아실현의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작품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3.STP전략과 그 효용성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

 

 

 

 

4.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경영의 여러 가지 전략과 전술에 대해 간략히 정리하시오

마케팅 기획은 마케팅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전략을 짜는 일이다. 세부적으로는 예산, 전술 등의 구체적인 과정이 포함된다. 마케팅 목표를 설정하기 전에는 먼저 내외부환경 분석과 타깃 관객 분석을 한다.

 

마케팅 목표 설정시 관객층을 세분화하여 그에 맞는 적절한 전략을 짜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장을 세분화하고 타깃 관객을 정한 후 포지셔닝을 하는 STP전략이 유용하다.

 

마케팅 목표 설정 후에는 관객조사(설문, 인터뷰, PGI)를 실시한다. 관객조사를 통해 타깃관객의 성향과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가능성이 높은 잠재관객에 마케팅 역량과 자원을 집중할 수 있다.

 

구체적인 마케팅 계획을 설정할 때는 4P전략(상품, 유통, 가격, 홍보)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잡을 수 있다.

 

 

 

 

강의용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재 '예술경영과 예술행정'에서 발췌.요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