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문제론』은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들을 쟁점별로 검토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우리 사회의 제반 문제들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스스로 모색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강의개요
‘사회문제(social problem)’란 개인문제와 달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어떤 개인이나 가족에게만 특수하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 사회문제인 것이다. 사회문제가 발생하면, 개인, 사회, 국가, 또는 국제사회에서 각각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행동을 취하도록 기대된다. 하지만 개인문제와 사회문제의 경계가 늘 분명한 것은 아니므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집합적 대책이 필요할지 개인적 대책이 필요할지에 대한 판단 또는 논의가 필요하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함께 해결해 가야 할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문제들을 사회문제로 바라봄으로써 우리는 대안을 모색하고 해결해 나가기 위한 행동을 취하고, 동시에 그 문제를 발생시키는 사회구조의 변혁까지 모색하게 될 것이다.
강의목차
- 개인문제와 사회문제
- 사회문제를 보는 관점
- 사회문제의 상대성
- 한국사회와 사회문제
강의정리
1. 사회문제라는 용어의 의미를 파악한다.
'사회적'이라는 말은 자연현상이 아닌 인간과 인간의 상호교류 속에서 통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의미다. '사회문제'란 말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말한다. 각 개인적 차원에서 볼때는 개인적인 문제일지라도 사회적으로 봤을때 유사한 문제들이 많이 보인다면 그것은 사회적인 문제가 된다. 어떤 문제는 개인 문제인 것 같지만 사회적 문제일 수 있고 어떤 문제는 사회적 문제인 것 같지만 개인 문제일 수 있다. 양자의 경계가 늘 분명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 사회가 무엇을 사회문제로 간주하느냐는 간단하지 않다.
'사회문제'는
- 집합적인 의미를 가진다.
- 문제의 원인이 인간사회이다.
- 대안이나 행동이 전제된다.
-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2. 어떤 문제를 '사회문제'로 보는 행위의 의의를 이해한다.
한 사회가 어떤 문제를 '사회문제'로 보는 것은 그 사회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것이다. 이는 그 문제가 사회의 다수의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사회문제로 볼때 사회적으로 해결할 길이 열리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골칫거리', '피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공론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여겨야 한다.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그것을 병리적인 것으로 보아서는 안된다. 오히려 여러 가지 문제들을 개인적인 문제로만 간주하여 사회적 해결을 추구하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또한 사회에 문제가 존재함에도 그것을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사회에 불평등 매우 심화되어 사회문제를 극복할 수 없는 것으로 사람들이 여기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서로에 대한 믿음이 사라진 것이다.
3. 사회문제의 원인, 과정, 결과, 그리고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들을 검토한다.
강의용어
미국의 사회학자 밀즈는 자신의 저서 '사회적 상상력'에서 '개인이 자신의 인생 경험의 한계를 뛰어넘어 사회 전체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제시했다. 즉, '사회학적 상상력'은 인간과 사회, 개인 일생과 사회 역사, 자아(내면)과 세계(외면)의 상관 관계를 한계를 두지 않고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를 통하여 인간은 삶에서 겪는 문제를 심리적이고 개인적인 경험만으로 한정짓는 대신, 시간적, 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사회에 속한 개인의 위치가 어디인지 볼 수 있게 했다. 이는 개인적인 상황을 벗어나 더 큰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것으로 일상의 타성에서 벗어나는 시도이다. 밀즈는 '사람들이 자신의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역사적 변동과 사회구조적.제도적 모순에 의해 규정하려는 생각'을 잘 하지 않는데 이것은 사회학적 상상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교재 '사회문제론' 발췌 및 요약>
'U.KNOU 캠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과 건강 (0) | 2021.04.24 |
---|---|
2) 노동문제 /사회문제론 (0) | 2021.04.12 |
15) 세계시민의 연대와 공동행동/세계의정치와경제 (0) | 2021.04.07 |
14) 글로벌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세계의정치와경제 (0) | 2021.04.06 |
13) 문화제국주의를 넘어 삶의 양식이 되는 문화/세계의정치와경제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