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KNOU 캠퍼스

1) 미디어권력의 이동 | 미디어 혁신과 뉴스 스토리텔링

명동팬더 2021. 1. 30. 15:16
반응형

미디어 혁신과 뉴스 스토리텔링

<강의 내용> 기존 신문방송에서의 수직적 뉴스공급에서 리얼타임 뉴스를 거쳐 모두가 뉴스의 생산과 공급에 참여하는 소셜뉴스 시대로의 이동 트렌드

강의 정보

교수  공훈의                   

강의 분량  42m21

자막 가능  한국어 


강의 목차

1. "미디어가 사라졌다."

2. Baekdal Diagram

3. 스마트리더의 시대

 


1.

기존의 매스미디어는 자신들의 목소리를 담기에 모자르다는 사실을 대중들은 알게 되었다. 2000년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대중은 자신들의 의견표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에 기존 매스미디어로는 충족되지 못한 표현의 욕구를 표출한다. 이러한 경험으로 대중은 기존 매스미디어의 공백을 발견한다. 즉 자신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매스미디어가 없음을 알게된 것이다.

 

이때 전환점이 되는 2가지 사건,

 

1. 수입산 쇠고기 반대 집회 2008년

2. 용산 참사 2009년

 

양 사건으로 SNS(소셜미디어)의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는 기존 매스미디어의 공백을 확인한 대중들이 그 공백을 자신들이 메우기 위해 SNS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때는 아직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기 이전으로 주로 메신저와 노트북, 웹캠등을 활용하였다.

 


 

2.

미디어 전문가 토마스 백달은 "다들 어디로 갔어요?" 라는 기사를 통해 미디어 시장의 시대별 변화의 흐름을 보여주었다.  그에 따르면 미디어는 인쇄매체 > TV > 인터넷 매체로 진화하고 있으며 현재 수많은 인터넷 매체들이 분화(소셜미디어, 유튜브, 팟캐스트 등) 진화하고 있다.

Thomas Baekdal "Where is everyone?"

"Where is everyone"원문보기

 


 

3.

매스미디어만이 이슈를 점유하던 시대는 지났다.

클래이 셔키 (출처 방송대 강의)

클래이 셔키의 미디어 3단계

 

1 단계 : 미디어가 독자들에게 뉴스를 제공한다.

2 단계 : 개개인들이 미디어에게 댓글을 단다.

3 단계 : 청중들은 다른이들에게 직접 말할 수 있다.

 

대중은 1단계의 독자에서 2단계의 개개인으로 3단계의 청자로 진화한다. 3단계는 SNS 직접 소통 단계다. 이 단계에서 미디어는 사라지고 청중들이 서로 직접 소통한다. 

 

그럼 SNS 직접 소통 단계에서 미디어는 어떤 역할을 해야할까? 

 

1. SNS에서 확산된 이슈를 정리하는 역할.

2. 새로운 이슈를 발굴하여 SNS 확산을  유도하는 역할. 

 

모두가 이슈를 만들수 있는 환경에서 미디어는 기존의 역할을 버리고 새로운 역할을 해야 한다.


 

반응형